사유리 출산 총정리
방송인 사유리(후지타 사유리·41)가 기증 받은 정자로 자발적 비혼모가 되면서 한국 사회에 큰 화두를 던졌습니다. 한국의 경우 혼인을 하지 않으면 정자를 기증 받을 수 없다고 합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한 부모 가정에 대한 세상의 편견이 엄연히 존재합니다.
어떤 내용인지 지금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사유리는 16일 KBS '뉴스 9'와의 인터뷰에서 자기자신이 비혼모가 된 이유를 밝혔습니다.
그는 "산부인과에서 '자연 임신이 어렵고 지금 지금바로 시험관 하더라도 성공 확률이 높지 않습니다'는 이야기를 듣고 세상이 무너지는 것 같았습니다"며
"사랑하지 않는 사람을 급하게 찾아 혼인하는 게 어려웠습니다"고 임신을 결심한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이어 "한국에서는 혼인한 사람만 시험관이 가능하고 대부분 게 불법이었습니다"며 일본에서 정자 기증을 받은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그는 "아이를 낳을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해줬으면 합니다"며 "거짓말하는 엄마가 아닌 아이에게 당당한 엄마가 되고 싶었습니다"고 말했습니다.
이를 두고 인터넷상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졌습니다.
사유리의 선택을 존중하고 응원하다는 입장과 여전히 세상의 편견이 존재하고 아이와 엄마가 겪어야할 여러 가지 일을 걱정하는 입장이 충돌하고 있습니다.
사유리가 한국이 아닌 일본에서 비혼모가 될 수밖에 없었던 배경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비혼모가 남성의 정자를 기증 받아 아이를 낳는 건 불법입니다.
지난 2005년 말 '황우석 사태' 이후 난자 채취의 위험성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면서 관련 법규가 강화됐습니다. 여성이 임신을 위해 정자를 기증받으려면 법적인 남편 동의는 필수입니다.
다른 나라의 경우 특별한 자격이 필요 없다고 합니다.
미국과 영국 등 유럽 일부 나라에서는 비혼여성에 대한 정자 기증이 허용됩니다. 일본은 비영리 및 영리정자은행을 함께 운영합니다.
독신 여성이나 동성 부부에게도 정자를 제공합니다.
사유리의 자발적 비혼모 선택에 정치권도 술렁였습니다.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17일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사유리 씨가 정자 기증으로 분만했습니다.
자발적 비혼모가 된 것"이라며
"아이가 자라게 될 한국이 더 열린 사회가 되도록 우리 모두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고 말했습니다.
배복주 정의당 부대표는 이날 자기자신의 SNS에 "과연 사유리가 한국 여성이었다면?"라며
"무엇을 선택하고 결정할 것인지 자기자신의 몸에 대해 생각하고 자기자신을 위해 최선의 방식을 선택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중요합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한국은 혼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난임 지원이나 정자기증을 받는 게 안되는 나라. 한국은 원치 않은 임신을 중단하면 안 되는 나라. 한국은 피임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제공 받지도 교육 받지도 못하는 나라. 한국은 생리대 살 돈이 없어서 신발 깔창을 사용하는 청소년이 있었던 나라. 한국은 제도 안으로 진입한 여성만 임신·출산에 대한 합법적 지원이 가능한 나라"라고 지적했습니다.
강민진 청년정의당 창당준비위원장 이날 논평을 통해 "구시대적 생명윤리법을 개정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강 위원장은 "혼인관계 내에서의 출산만이 정상적인 것이라고 보는 잘못된 인식이 담겨있고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인정하지 않는 관점의 법"이라며
"지금 정부의 난임 지원 역시 법적 부부를 대상으로만 이뤄지고 있습니다.
법적 부부를 대상으로만 지원하는 것은 국가가 지원하는 출산과 지원하지 않는 출산을 차별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법적 부부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혼인여부와 상관없이 여성의 의사와 재생산권을 기준으로 난임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합니다"고 강조했습니다.
준비한 글은 여기까지 입니다.
정보가 부족하거나 기대에 못 믿칠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사회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훈련장 오발사고 (+피해) (0) | 2020.11.19 |
---|---|
프듀 조작 피해 연습생 누구? (0) | 2020.11.18 |
박훈 변호사 현각스님 비판 (0) | 2020.11.17 |
고소득자 대출 규제 (+어떻게 바뀌나?) (0) | 2020.11.13 |
마스크 의무화 벌금 주의점 (0) | 2020.11.12 |